-0- 저는 간단한 콘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경우엔 주로 gVim 으로 코딩을 합니다.
GNU 계열인지라 라이센스 걱정도 필요없고~ 가볍기도 하구요.
그리고 indent 기능 및 플러그인 셋팅만 잘 해두면 상용툴 못지않게 상당히 편리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.
개발자마다 선호하는 개발환경(소스코드 폰트, 탭간격 등...)이 있듯이...
저 역시도 저 나름대로 선호하는 환경(?)이 있고 툴을 설치하면 그런 셋팅부터 먼저 하는데요~
이번에는 gVim 의 폰트, 윈도우크기, 윈도우위치~ 를 셋팅하는 방법입니다.
if has("gui_running") "폰트 설정 set guifont=나눔고딕코딩:h10 "VI 시작 크기 설정 au GUIEnter * winsize 120 50 "VI 시작 위치 설정 au GUIEnter * winpos 0 0 endif
gVim 패키지에는 윈도우창이 뜨는 GUI 작업모드도 있지만, 콘솔 작업모드도 있기에~
저는 GUI 모드에서만 적용을 하기 위해 "gui_running" 으로 조건을 걸어두었습니다.
폰트 설정에서~ 폰트이름 뒤의 "h10" 은 폰트크기이구요..
시작 크기 설정에서의~ 수치는 ( 창의 X 사이즈, 창의 Y 사이즈 ) 이고,
시작 위치 설정에서의~ 수치는 ( 모니터화면의 X 좌표, 모니터화면의 Y 좌표 ) 정도로 생각하시면 되겠네용..^^;;
사실 =0=;; 개인적인 백업차원에서의 포스팅이었습니다.. ( 쿨럭;;; )
'Tip / Tec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P] OllyDbg v2.01 플러그인 만드는 꼼수(?) (0) | 2011.08.09 |
---|---|
[TIP] VirtualBox 를 사용한 커널 디버깅 설정 (0) | 2010.03.27 |
[TIP] gVim 폰트, 윈도우크기, 윈도우위치 설정 (_vimrc) (2) | 2009.03.22 |
[TIP] Windows 환경의 프리웨어 언어 및 개발툴~ (0) | 2009.02.05 |
[TIP] Visual C++ DSW(or DSP) 파일 콘솔에서 빌드하기~ (VC++ 6.0) (4) | 2008.07.12 |
[TIP] 유용한 프리웨어들~ (3) | 2008.05.28 |
제가 선호하는 글씨체는..맑은고딕이나 Vernada 입니다.-ㅂ-ㅋ
예전에는 Lucida Console 이었는데, 이체는 한글이 너무나너무나 못생겼어요..-ㅂ-
그리고 지역변수는 굵게, 함수는 갈색, 클래스나 자료형은 파란색..디파인은 보라색..주석은 초록색..
이런식으로..-ㅂ-;;
코드도 예뻐야 보기 좋잖아효..ㅋ
저같은 경우 제일 처음엔~ "Fixedsys" 를 주로 썼답니다;
( Visual Studio 6.0 디폴트 폰트가 그거라서;;.. )
그게 눈에 익어서 한동안 그걸로 하다가~
Visual Studio .NET 2003 넘어가면서 "돋움체"로;;
"Fixedsys" 가 진하고 글씨가 크다보니
"돋움체"는.. 처음에 임팩트가 좀 약했다는;;;
얼마전까지 "돋움체"로 계속 작업하다가..
이번에 "나눔고딕코딩"으로 갈아탔습니다..ㅋㅋ
"Bitstream Vera Sans Mono" 도 괜찮구요;
탭을 많이 쓰고 하다보니 고정폭이 아니면 난감하더라는;;ㅋㅋㅋ ^^;;
"나눔고딕코딩" 괜찮아효~~ -ㅂ- ㅎㅎ