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blime Text 3
예전에 우연한 계기로 Sublime Text(http://www.sublimetext.com)라는 에디터를 알게 됐고~
공식 홈페이지 첫화면에 나오는 대표기능(?) 영상을 보고 감동을 받은 후로~~
지금까지 계속 사용하고 있습니다 ㅎㅎㅎ ~ :))
보란듯이 등록 유저 인증 -_-v
Sublime Text 3 를 처음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C++ 에 대해서는 gcc/g++ 을 컴파일러로 인식하도록 되어있습니다.
운영체제가 리눅스거나 윈도우라도 MinGW (or Cygwin) 가 설치된 상태라면 상관없겠지만...
Visual C++ 만 설치된 환경이라면 조금 답답하죠~ :((
그래서 Visual C++ 사용자들 입맛(?)에 맞게 빌드 환경을 설정하는 과정을 정리해봤습니다.
Sublie Text 3 가 설치된 폴더를 보시면 "Packages" 라는 폴더가 있고...
그 폴더 안에 '.sublime-package' 확장자를 가진 파일들이 많이 있는데,
이 파일들이 Sublie Text 3 에서 제공하는 기본 설정 파일들입니다.
Sublime Text 3 가 설치된 경로의 "Packages" 폴더
파일들 중 '[언어].sublime-package' 파일들이 각 언어에 대한 기본 설정 파일입니다.
이 파일들은 ZIP 포맷으로 압축이 되어있으며~ ZIP 포맷을 지원하는 압축 관련 유틸로 풀 수 있습니다.
우리가 설정하려고 하는 언어는 'C++' 이니 'C++.sublime-package' 압축을 풀어봅시다~
"C++.sublime-package" 파일 안에 들어있는 내용들
위에 보이는 'C++.sublime-build' 파일이 빌드 환경에 대한 설정 파일입니다. :)
JSON 형식이라 일반 텍스트 에디터로도 편집이 가능한데요~
저 파일을 열어보면 기본적으로는 아래와 같이 되어있을 겁니다.
'C++.sublime-build' 파일의 내용
g++ 이 설정되어있는 게 보이시죠...??
여기서 g++ 로 빌드 명령을 조합하는 부분들을 Visual C++ 에 맞게 고쳐주면~
Visual C++ 를 기본 컴파일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참고로 저는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해두었습니다.
Visual C++ 용 빌드 환경 설정
{ "cmd": [ "C:\\Program Files (x86)\\Microsoft Visual Studio 10.0\\VC\\bin\\vcvars32.bat", "&&", "cl.exe", "/EHsc", "/O2", "/GS", "/Fm", "${file}" ], "file_regex": "^(..[^:]*):([0-9]+):?([0-9]+)?:? (.*)$", "working_dir": "${file_path}", "selector": "source.c, source.c++", "encoding": "cp949", "variants": [ { "name": "Run", "cmd": [ "C:\\Program Files (x86)\\Microsoft Visual Studio 10.0\\VC\\bin\\vcvars32.bat", "&&", "cl.exe", "/EHsc", "/O2", "/GS", "/Fm", "${file}", "&&", "${file_path}/${file_base_name}.exe" ], }, { "name": "Build_Dll", "cmd": [ "C:\\Program Files (x86)\\Microsoft Visual Studio 10.0\\VC\\bin\\vcvars32.bat", "&&", "cl.exe", "/EHsc", "/O2", "/GS", "/Fm", "/LD", "${file}", ], }, { "name": "Build_sys", "cmd": [ "C:\\Windows\\System32\\cmd.exe", "/k", "C:\\WinDDK\\7600.16385.1\\bin\\setenv.bat", "C:\\WinDDK\\7600.16385.1\\", "fre", "x86", "WNET", "&&", "DDKBUILD.cmd", "-WNETXP", "fre", "${file_path}", "-cZ", ], } ] }
'C++.sublime-build' 파일을 자신에 맞게 수정했으면~
다시 원래대로 다른 파일들과 함께~ 'C++.sublime-package' 라는 이름으로 ZIP 포맷으로 압축을 하고
"Packages" 폴더에 넣어주시면 됩니다.
( 혹시라도 잘못 수정할 경우를 대비해 원래 파일은 백업해 두시는걸 권장합니다. ㅎㅎ )
위와 같은 일련의 과정들이 끝나면 C++ 에 대해서 Visual C++ 컴파일러가 동작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:))
( 개인적으로는 Sublime Text 에 손이 익숙해지니 Visual C++ IDE 에서 작업하는게 엄청 답답하더군요;;;.. )
보너스로... 빌드를 조금 더 쉽게(?)하기 위한 단축키 설정입니다.
( 'Preferences -> Key Binding - User' 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. )
단축키 설정
[ // Alignment { "keys": ["ctrl+alt+a"], "command": "alignment" }, // Build { "keys": ["f5"], "command": "build" }, { "keys": ["ctrl+f5"], "command": "build", "args": {"variant": "Run"} }, { "keys": ["ctrl+b", "ctrl+b"], "command": "build" }, { "keys": ["ctrl+b", "ctrl+d"], "command": "build", "args": {"variant": "Build_Dll"} }, { "keys": ["ctrl+b", "ctrl+s"], "command": "build", "args": {"variant": "Build_sys"} }, ]
[ Sublime 기능 관련 영상 ]
'Tip / Tec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P] Sublime Text 3 - Visual C++ 빌드 환경 설정 (9) | 2014.02.16 |
---|---|
[TIP] Visual Studio 2010 으로 파이썬 2.7.x 모듈 빌드하기 (4) | 2014.01.18 |
[TIP] Custom ListView 사용한 안드로이드 어플이 젤리빈에서 동작하지 않는 경우 (0) | 2013.01.18 |
[TIP] PC 바탕화면은 이곳에서~ DesktopNexus~ (4) | 2012.02.09 |
[TIP] OllyDbg v2.01 플러그인 만드는 꼼수(?) (0) | 2011.08.09 |
[TIP] VirtualBox 를 사용한 커널 디버깅 설정 (0) | 2010.03.27 |
설정 코드를 저렇게 스샷으로 하는거보다는
jsfiddle.net 이나 pastebin 같은 사이트에 적어서 공유해주시는 어떨까 합니다.
저렇게 스샷으로 공유하경우 보면서 작성하기가 매우 까다로워서요
페북에서 링크타고왔다가 덧글 남겨놓고 갑니다. ㅎㅎㅎ
방문 감사합니다... ㅎ
일단 간단하게나마 Syntax Highlighter 버전도 추가해뒀습니다..
붙여넣기에 대한 고민을 조금 하긴 했는데...^^;;;
처음 쓸 때부터 추가해둘걸 그랬나봐요..ㅎㅎ
정말 감사합니다. visual C/C++ 빌드 환경 설정하는 방법을 찾고 있었는데... 드디어 ㅜㅜ
그런데, 혹시 빌드하고나서 실행할 때 cmd창을 띄우게 할 수는 없나요?
또... 저런 빌드환경을 구성하는 방법은 어디서 배울 수 있을까요...
흠.. 명령 프롬프트 창을 띄울 수 있을지는...
좀 더 연구(?)를 해봐야 될 것 같습니다..ㅎ
저도 필요한 부분만 파악하고 완전히 익히지는 못한 상태라서..^^;;;
빌드 환경 설정하는 건 Sublime Text 포럼 등에서 찾아보면...
도움이 되는 정보들이 꽤 있습니다... ^^;;
잘 안되네요 ㅠ
음... 어느 부분에서 막히시는건가요..? ^^;;;
우오 정말감사합니다. 진짜 찾앗는데 여기서 겨우 해결하고가용 감사해요 ㅎㅎㅎ
해보니까 문제가
windows 8.1 하고 visual studio 2013 환경인데 WDK 자체가 vS에 통합되서인지
WinDDK 자체가 없습니다 고로 build_sys 부분이 완전 틀리게 된거죠.
하루종일 WDK에 대해서 보는데 머리 터질 지경이네요.
에혀 sublime도 슬슬 포기할때 됬나봅니다.
음..;; Visual Studio 와 WDK 는 별개일텐데요..;;
( 물론 Visaul Studio 2013 버전부터 연동이 가능하긴 하지만.. )
WDK 8.1 은 설치를 해본 적이 없어서 모르겠네요;;...